FOR-A 제품 기술 기본 해설:8K(SHV) / 4K(UHD)

표준 규격이 바뀌는 차세대 영상


4K, 8K라는 차세대 영상을 위한 제작 환경을 만들어 가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일본의 차세대 방송을 위한 대응은 일본 방송 협회가 초고정밀 영상 시스템으로서 1995년에 연구를 개시한 것이 최초. 그 후, SMPTE(미국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에서 2007년에 영상 포맷이 규격화되었고, 이듬해 2008년에는 22.2CH 음향 포맷이 규격화되었습니다. 2012년에는 ITU-R(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에서 텔레비전 국제 규격으로 권고되고 있습니다.

총무성의 4K·8K로드맵에 관한 Follow up모임에서 차세대 방송을 위한 대응이 책정되었습니다. 2015년 7월에 제2차 중간보고가 이루어졌고 2016년에 BS우선(우선원편파)에 의한 4K·8K시험 방송의 개시와 2018년에 BS좌선(좌선 원편파)의 4K·8K실용 방송의 개시가 포함되어 2020년 도쿄 올림픽 패럴림픽을 위한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 차세대 방송 추진 포럼(NexTV-F)이 설립되어 4K/8K의 차세대 방송 서비스에 관한 기술 사양의 검토, 검증, 평가를 실시해 왔습니다. 2014년부터 4K 시험 방송은 NexTV-F가 주체가 되어 실시. NexTV-F는 2016년 4월에 디지털 방송 추진 협회(Dpa)와 합병하여 새롭게 방송 서비스 고도화 추진 협회(A-PAB)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8K 시험 방송에 대해서는 일본 방송 협회가 주체가 되어, BS 우선 17ch을 사용하여 2016년 8월 1일 시작, 2018년부터 실용 방송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2010년에 YouTube가 가로 4096픽셀 16:9 동영상에 대응한 것이 최초. 그 후 2013년 12월에 UHD, 2015년 6월에 8K에 대응했습니다. 2015년 1월에는 UHD Alliance도 설립되어 4K 이상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 콘텐츠 제작의 추진을 위한 대응도 시작했습니다. 2015년 9월부터는 Amazon Prime Video, Netflix가 4K 콘텐츠 송신을 개시했습니다.

방송 시장은 긴 관망세 상태가 이어졌지만, 2014년경부터 4K 인터넷 콘텐츠 환경이 좋아지기 시작하고 다시 활발해졌습니다. 위성 방송의 DISH Network가 2015년 여름부터 4K 채널을 개설한 데 이어 DirecTV도 2016년 라이브 4K 채널을 개설했습니다. NBC, ABC, CBS, FOX와 같은 4대 네트워크 방송사들도 스포츠 이벤트 중계 등에서 4K의 활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12년부터 지상파 방송의 실험 방송이 시작되고 2012년, 2013년, 2014년 몇 개월간 한정으로 실험 방송을 했습니다. 2013년부터 케이블 방송에서 4K 시험 방송이 개시되어 2014년에는 위성 방송 SkyUHD가 개국하였습니다.

8K(SHV) / 4K(UHD) 해설 기사 일람